2011년 5월 21일 토요일

統一論議 (25) 민족 개념



계급을 최우선시하고 있는 평양 정권이 핵 개발 추진 과정에서 미국의 강력한 대응에 맞서기 위한 남과 북의 “민족 공조”를 들고 나오면서, 그들이 말 하는 민족의 의미를 주목하게 된다.

민족은 정치 체제와 역사를 공유하며 살아가는 동족의 자연적인 개념이다.  

따라서 혈연과 지연, 역사, 문화 등 객관적 구성 요소와 주관적인 민족의식이나 일체감과 같은 정신적 측면의 요소로 규정하게 되며, 민족의 개념을 말 할 때 그 주관성은 더 중시되고 있다.

마르크스는 민족을 부르조아 계급이 자신들의 이익을 독점적으로 추구하고,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은폐하며 계급투쟁을 약화시키는 부정적 요인으로 규정했다.

이와 같은 마르크스의 이념적 배경에 따라 민족의 중요성을 별로 중요시 하지 않았던 평양 정권은 “남조선 해방”을 위한 수단으로 “민족”이라는 용어를 이따금 사용해 왔을 뿐이었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평양 정권이 내 걸고 있는 “민족 공조”는 국제 환경의 불리함을 극복하기 위한 반미 공조 술수이며, 한. 미 동맹을 파괴하려는 이간질 전술임은 분명하다.

이와 같은 대남 전술 용 “민족 공조”와는 별도로, 평양 정권은 1980년대 중반부터 이 민족 개념을 다시 재 정의하기 시작했다.

그 배경은 한국을 상대적으로 의식한 점도 부인할 수 없다.  그리고 사회주의권의 동요와 함께 불안해 진 체제의 유지를 위한 한 방편이라고 볼 수 있다.

국제적으로는 고르바초프의 개혁 및 개방정책에 의한 공산주의 국가 간 유대의 이완과 1991년 공산주의 국가와 공산당 해체로 소련이 붕괴되고, 각 공화국의 독립과 동유럽 국가들의 자본주의 체제 수용 등은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따라서 주민들의 동요를 해소하고, 체제의 정당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민족 정서를 자극하는 방법을 동원하였으며, 여기에 하나의 이념으로 제시한 것이 “조선민족 제일주의”의 주창이다.

여기에는 1990년대 이후, 경제난에 따른 북한 사회 내 뚜렷한 변화의 하나인 북한 주민의 의식 구조의 변화도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논리는 자기 민족을 가장 소중히 여기는 정신과 민족적 자부심이 혁명과 건설을 추진하는 신념이라고 정의하고, “우리식 사회주의”를 끝까지 신봉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뒤받침하고 있다.

이와 함께, 1980년대까지만 해도 역사적 허구라고 부정해 오던 단군의 존재를 인정했을 뿐만 아니라, 단군릉을 복원하고, 대동강 유역의 유적을 대대적으로 발굴하여 대동강 문화의 존재까지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1994년 12월, 단군 제 (檀君 祭)를 갖고, 김일성을 사회주의 조선 창건 교주로, 그리고 북한 주민을 “김일성 민족”으로 선포하였다.  또한 평양 방송은 사회주의 조선은 김일성 수령이 시조이므로 “김일성 민족”이라고 공식화했다.

이와 함께, 김일성이 출생한 1912년을 “주체 연호 원년”으로 제정 (2006년은 주체95년에 해당)하고, 생일인 4월15일을 태양절로 제정하여 1998년 첫 공식 행사도 가졌다.

이 일련의 조처는 그들의 체제가 우월하며, 김일성-김 정일부자가 대표하고 있다고 선전함으로써 사회주의 체제에 대한 신념과 충성심을 유도하려는 것이다.

여기서 분명한 사실은,  평양 정권이 체제 유지라는 생존 전략을 위해서는 어떠한 사실도 왜곡하고, 역사도 위증하는 자폐증 행위도 불사한다는 것이다.

평양 정권에게는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민족 개념이 없다.  “민족 공조” 주장은 휘파람 같은 헛소리일 뿐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