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4월 11일 토요일

통일, 통합과 문화의 기능성 (Unification/Integration and the Functionality of the Culture)


Unification/Integration and the Functionality of the Culture
Abstract
 
 
German reunification experience has defined a unification concept, including the integration to the subsequent unification as a process that which regarding to view unification in a broad sense one of the goals or the ultimate status.
 
 
As years go by, the tension between Seoul and Pyongyang continues, and there is no progress toward achieving the objective of the unifying the divided people.
 
 
According to public polls, most South Koreans under the age of 40 are not interested in the unification of the peninsula.
 
 
Decades have passed since the country was partitioned. The number of families separated by the demilitarized zone (DMZ) has dwindled and emotions have cooled.
 
 
Many young people in the South increasingly see North Korea as a foreign country.
 
 
Pragmatic calculation now enter the equation:
 
 
How much would we (Republic of Korea national) have to pay for unification?
 
 
How much would it decrease our standards of living?
 
 
What if it led to war?
 
 
The once-glowing example of Germany’s unification long ago dimmed in our memory.
 
 
Experts were aghast after calculating what that merger ended up costing its citizens-it came with a high price tag, even for an economic powerhouse such as Germany.
 
 
Culture is the centre of a society and without culture no society can even exist. It is the main difference between human beings and animals.
 
 
It is a heritage transmitted from one generation to another. It includes all the ways and behaviors is social life.
 
 
Culture is everything which is socially shared and learned by the members of a society.
 
 
Culture is an essential means of functional approach. It can do the pioneering features of the communication as an important goal.
 
 
Institutional unification is a short-term compared to the long-term integration, therefore, interaction of all members of society a crucial element.
 
 
Culture is the matrix of everything else and is itself governed by its own laws of growth and operation.
 
 
Neither human biology nor human society is regarded as capable of explaining its reality.
 

통일·통합과 문화의 기능성
 
 
1990년대 이후, 우리는 독일 통일의 과정을 지켜보면서 사회문화적 통합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독일 통일의 경험은 통일 이후의 통합까지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통일을 하나의 목적이나 궁극적 상태가 아닌 과정으로서의 통일의 개념으로 정립했다.
 
 
이런 의미 부여에 따라 오늘날 통일은 남과 의 영토적 분리의 극복, 생활공간의 결합을 넘어 민족공동체의 형성과 발전으로 완성된 민족국가를 형성하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그리고 독일 통일의 과정에서 보여준 통합은 통일 및 통일 이후의 과정으로서 통합에 대한 심각한 고민을 던져주었다.
 
 
단일 국가 내부의 통합으로서의 국가통합 (National integration)이 단지 단수의 과정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 국가통합은 단일 주권체의 형성인 정치제도의 통합을 뜻하는 정치통합 (Political integration)과 경제체제의 통합인 경제통합 (Economic integration), 그리고 사회의 분화와 이질화, 분리, 차별, 불평등 등을 전제로 이것을 하나의 과정으로 묶는 사회통합 (Social integration)의 다양한 영역으로 구성된다.
 
 
독일 통일은 주로 제도적 차원으로 진행된 정치통합과 경제통합에 비해 눈에 보이지 않는 사회적, 문화적 가치에 기반을 둔 사회통합의 심각성과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이렇듯, 통일과 통합의 이런 정의와 개념은 우리의 통일에 중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통일이 하나의 과정으로서 이해되듯, 통합 역시 하나의 과정으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제도적 통일의 단기성에 비해 통합은 장기적이고 사회 구성원 모두의 상호작용이 결정적임을 말해준다.
 
 
이는 곧 제도의 통일과 더불어 통합을 위한 집단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위로부터의 통일과 동시에 아래로부터의 통일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문화는 한 사회 구성원의 생활양식의 총체라고 말한다.
 
 
이는 나와 타인에 의미를 부여하고, 이를 통해 스스로의 정체성과 타인의 정체성에도 의미를 부여함을 뜻한다.
 
 
따라서 문화가 통합의 과정에서 갈등이나 통합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문화는 제도적 통합의 기반 위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통합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또 위로부터의 통합과 달리 아래로부터의 통합은 한 번의 협상이나 대면 작용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지속성과 함께 타문화를 수용하고, 자신의 문화적 가치도 변화시킬 수 있는 포용성이 요구된다.
 
 
남북의 통합은 서로 다른 생활양식의 결합일 수 있으며, 따라서 통일과 통합의 과정은 소통과 민주적 가치관이 보편적 가치관으로 재정립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 통일과 통합의 과정에서 사회문화적 가치로서의 문화는 통일에 대한 다양한 사고와 주장을 한데 모으고, 수렴 (收斂)할 수 있는 매개적 기능의 핵심 역할을 하게 된다.
 
 
이미 우리 사회는 전쟁 세대와 그 이후 세대, 남녀, 지역, 집단 및 이해관계에 따른 세력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관이 충돌하면서 공존하고 있다.
 
 
여기에 북한지역의 오랜 사회주의 가치관이 덧붙여지면 더욱 혼란스러운 통합의 과정을 맞이할 수밖에 없다.
 
 
물론, 통합의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혼란은 피할 수 없는 것이며, 그렇다고 이것을 사회악으로 치부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통일된 사회 혹은 통합된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최소한의 가치 질서를 부여하고, 또 동의를 얻어야 하는 것 역시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아래로부터의 다양한 의견의 수렴과 국가와 더불어 시민사회의 폭 넓은 문화적 가치를 수용할 수 있어야할 것이다.
 
 
이는 제도의 힘만으로는 불가능하며, 사회·문화적 굳건한 토대를 구축해야만 획득할 수 있다.
 
 
환언하면, 문화는 곧 획일적 통일관에서 벗어나 모두의 통일을 성취할 수 있는 기반이며, 토대로서 작용할 수 있는 사회적 힘인 것이다.
 
 
현재의 시점에서 사회·문화적 접근은 정치, 경제 및 군사적 대결의 논리에서 벗어나 남북 간 소통 수단으로서 매우 긴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런 조건에서 문화는 정치, 군사적 집중에서 벗어나 점진적인 상호이해와 화해·협력의 기초를 바로 세워주는 데서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문화의 이런 기능에도 불구하고 문화 역시 정치 이념과 대결의 논리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남북의 차이는 제도의 차이 못지않게, 문화적 이질성도 크다.
 
 
따라서 문화가 정치, 경제 및 군사적 대결의 논리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기 위해서는 문화 상대주의적 입장으로부터 서로를 바라볼 것이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화는 기능주의적 접근의 핵심적 수단이자 목표로서 중요한 소통의 선구적 기능을 다할 수 있다.
 
 
흔히 문화는 이데올로기를 담는 그릇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문화의 교류는 이데올로기 간의 갈등, 경쟁, 수용, 변화 과정의 다른 한 면일 수 있다.
 
 
남북 간의 문화적 교류와 협력은 정치, 군사적인 힘의 논리에 뒷받침된 이데올로기 전쟁의 다른 한 측면임은 자명하다.
 
 
그러나 준비된 문화적 교류는 통합 과정에서 서로의 충돌하는 이데올로기의 완충작용과 동시에 새로운 이데올로기적 가치를 생산할 수 있는 잠재력도 지니고 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과정은 남북이 서로 통일 지향적 가치를 발전시켜 나가는 상호 변화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것은 목적 지향적인 준비에 의해서만 가능할 것이다.
 
MUSIC
Liebesleid (Love's Sorrow) and Liebesfreud (Love's Joy)
Fritz Kreisler
Playing, Joshua Bell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