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2월 1일 일요일

민족공동체 개념 (National Community Concept)



National Community Concept
Abstract
 
 
The phrase "Unification" of the Korean National Community Unification Formula, literally, contains a meaning of one Korea.
 
 
But if this logic is to be strictly examined, such as a different perspective and conflicting cultures in addition practices, and the benefits, personality of individual may have a risk of dependency attributed to the collective needs of the phrase one Korea.
 
 
In this respect, the criticism has been raised that the traditional concept of national community does not fit the contemporary situation of the 2000s.
 
 
The realit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21st century, has become a character of pan-nation that Korean people live scattered among the nations.
 
 
We use the term "jaeoe gungmin, (citizens abroad)". Another broader term is "gyopo", however, the term has come to have negative connotations as referring to people who, as a result of living as sojourners outside the "home country", have lost touch with their Korean roots.
 
 
As a result, others prefer to use the term "dongpo (roughly "brethren" or "people of the same ancestry").
 
 
Dongpo has a more transnational implication, emphasizing links among various Korean groups, while gyopo has more of a purely national connotation referring to the Korean state.
 
 
The Korean diaspora consists of roughly seven million people, both descendants of early emigrants from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more recent emigres from Korea.
 
 
Nearly four-fifths of expatriate Koreans live in just three countries: Chin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Other countries with greater than 0.5% Korean minorities include Russia, Uzbekistan, Kazakhstan, Australia, Canada, and New Zealand.
 
 
All these figures include both permanent migrants and sojourners.
 
 
If one focuses on long-term residents, there were about 5.3 million Korean emigrants as of 2010.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y toward North Korea and unification system composing with the national community that beyond the political structure and ideological system, also social sector including psychological, to specific life areas.
 
 
민족공동체 개념
 
 
우리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통일은 말 그대로 하나 (One Korea)"가 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리고 민족공동체를 중시하는 논리는 이질성을 극복하고 한반도 내의 모든 주민들이 하나의 단위에 포괄될 것을 상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 논리를 엄밀히 음미하면, “하나라는 One Korea의 집체적인 요구에 여러 가지 관점과 상반된 문화나 관행, 그리고 개인의 개체적 이익이나 개성 등이 종속될 위험을 갖는다.
 
 
이런 측면에서 전통적인 민족공동체 개념은 2000년대의 시대적 상황엔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민족이라는 개념을 사용할 때 중국정부가 소수민족으로 관리하고 있는 조선족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일본에서도 조총련과 재일동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국가 간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고려인과 재미동포도 마찬가지다.
 
 
21세기 대한민국의 현실은 한민족 (韓民族)이 여러 나라에 흩어져 사는 범민족 (凡民族)의 성격을 띠고 있다.
 
 
국내 거주 외국인이 200만 명을 넘어서고, 국제결혼 비율이 급속히 늘어나 다민족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는 민족융합체가 되어가고 있다.
 
 
세계 여러 나라에 흩어져 있는 720코리안 디아스포라21세기 대한민국에게 기회와 도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우리는 통상적으로 외국에 나가 살고 있는 한민족을 가리키는 공식용어로 교포, 교민, 해외한인이라는 용어보다 재외동포 (在外同胞)”라는 용어를 선호한다.
 
 
최근 재외동포를 서구적 맥락에서 코리안 디아스포라 (Korean Diaspora)"라는 개념으로 재해석하려는 경향이 일반화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아스포라라는 말은 팔레스타인 땅을 떠나서 세계각지에 흩어져 사는 유대인과 그 공동체를 가리키는 말로 원래는 이산 (離散)”을 의미하는 그리스어다.
 
 
한국의 재외동포를 코리안 디아스포라로 개념화 하려는 이유는 서구의 디아스포라의 이미지를 내재하고 있다는 의미 부여에 근거한 것이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이제 우리 통일방안은 “1민족지향을 넘어 전 세계 한민족의 통일로 확대 되어야 한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또한 배타적 민족주의가 아닌 다양한 문화와 정체성을 포괄하는 열린 민족공동체로 정립되어야 한다는 소리도 확산되고 있다.
 
 
이런 현실에도 불구하고, 통일의 원천과 동력은 여전히 민족에 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오늘날 남북주민들의 의식이 점유하고 있는 통일의 당위성으로 민족정서가 50% 가량 된다고 평가한다.
 
 
민족적 특성에 의한 통일의 당위성은 특히 국제사회에서 인정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민족공동체를 정치공동체, 경제공동체, 생활공동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로 보아야 한다.
 
 
20092,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재외국민의 참정권 법안이 통과되고, 2011년부터는 이중 국적이 허용됨으로써 재외동포들의 참정권이 확대되었다.
 
 
이런 점에서 헌법공동체로서의 정치공동체는 남북과 이중국적 해외거주민은 당연히 포괄해야 한다.
 
 
그러나 해외 거주국 국적을 가진 디아스포라 한인은 민족공동체의 정치공동체에서는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구성될 민족공동체는 정치구조와 체제이념을 넘어 사회심리적 부문을 비롯한 구체적인 생활분야로까지 확장, 대비할 통일대북정책 체제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런 민족공동체는 네트워크 형태로 진행하게 됨으로써 각 공동체별로 진행속도가 다른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통일이 과정이며, 복합적 네트워크로 진행된다는 것은 통일이 몇 가지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는 것과 여러 작은 통일이 모이면 큰 통일로 이어진다는 개념으로도 설명되고 있다.
 
 
정치, 경제, 사회문화의 각 영역에서 분야별 작은 통일이 진행되며 그 범위와 속도는 각기 다를 수 있다는 접근이 필요하다.
 
 
이것은 박 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서 작은 통일과 큰 통일을 언급한 부분과 일맥상통한 것이다.
 
MUSIC
Vivaldi-Spring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