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ump's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Abstraction
Last fall Washington and Pyongyang were exchanging insults and threats, with the two nations sliding toward military confrontation.
Today,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appear to be rolling backward. Military confrontation again is a possibility.
Which demonstrates that the biggest problem with President Trump's diplomatic style is not that it is unorthodox.
Trump's willingness to meet with Kim violated conventional wisdom but offered a chance for a breakthrough.
The chief challenge facing the president is ignorance. He almost certainly knows nothing about North Korea's history, leadership, objectives, and interests.
In fact, few Korea specialists believed the North was prepared to yield its nukes.
There is no evidence that Kim agreed to speedily hand over his nuclear arsenal on the basis of trust, expecting nothing in return until he had placed his country naked at America's feet.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always have had a different definition of nuclear disarmament.
Pyongyang, however, faces overwhelming U.S. power in the South and beyond the peninsula. The ultimate result might be CVID, but not likely without something more from America.
Moreover, the summit communique set forth what looks to be a logical process for disarmament.
However, this strategy makes a lot of sense. Kim knows that verbal guarantees and paper guarantees will not stop American military power.
For North Korea to give up its main deterrent to U.S. military action, however unlikely that might be, is an obvious risk.
How to overcome Pyongyang's natural reluctance?
Create trust, which is most likely to come out of creating a deeper bilateral relationship and peace framework for the peninsula.
The North could be play-acting, of course. Many observers snicker at the idea of gaining the North's trust.
So far the Trump administration appears to lack not only a strategy but any interest in increasing the North's trust. This ensures that the current effort will be a massive waste of time.
North Korean policy is inevitably a comparison of second-best strategies.
President Trump was right to try to jump-start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 He needs to continue the process that he has started.
Which means moving forward to improve bilateral negotiations and reduce tensions on the peninsula.
These are steps worth taking even if denuclearization proves to be a pipedream.
트럼프의 비핵화 협상
지난 해 가을 워싱턴과 평양은 군사 대결로 나아갈 수 있는 모욕과 위협을 주고 받았다.
그런데 4개월 전에는 “우리 시대의 평화”라는 메아리가 싱가포르 정상 회담에서 울려 퍼졌다.
오늘날 타협보다 전쟁을 선호하는 미국의 신보수주의자들과 대통령의 명예를 훼손하는데 만 관심이 있는 민주당 의원들의 환호에 미·北 두 나라의 관계는 후퇴하는 것처럼 보인다.
다시 한 번 군사적 대결의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적 스타일의 가장 큰 문제는 전통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김 정은을 만나려는 그의 의지는 통념을 어겼지만 돌파구를 마련할 기회를 제공했다.
北정권은 제2차 6·25전쟁을 시작할 수 있는 미국 본토 타격 능력의 핵무기 보유로 비정통 외교는 성공을 향한 유일한 희망을 제공한 셈이다.
트럼프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도전은 그의 무지 (無知)이다.
그는 거의 확실히 北정권의 역사, 리더십, 목표, 관심사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
심지어 전문가들도 그의 말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
김 정은은 가문의 운명을 따르고 한국을 정복하기로 결심한 것일까?
아니면 그는 잔인한 통치자로 자신의 통치를 유지하면서 나라를 튼튼하게 만들려고 결심한 실용적인 인물인가?
트럼프는 강한 악수와 구두 (口頭)확약을 받은 뒤 北정권이 핵을 포기할 준비가 됐다고 믿음을 낳은 것으로 보인다.
그 대가 (代價)인 구체적인 안전 보장과 경제적 이득은 설명할 필요가 없다.
사실상, 北정권이 핵무기를 포기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믿는 한반도 문제 전문가는 거의 없다.
北정권이 말하는 명성 (名聲)은 강탈의 도구로서 유용하며, 정권을 위한 군부의 지원을 강화하게 된다.
北정권은 또한 김 정은과 그의 무리들이 리비아 지도자 무아마르 알 카다피처럼 끝나지는 않으리라는 것을 확실히 하고 있다.
따라서 김 정은은 유도탄 및 핵 시험을 중단하고, 무기의 수를 제한하며, 어떤 형태의 안전장치/검사는 허용하고, 다른 긴장 완화 조치를 채택할 수 있는 마진에 대해 합리적으로 거래할 수 있지만, 모든 것을 제거하는 것은 최선의 상황에서는 장단점이 있다.
그래도 가능성은 있지만, 김 정은이 실제로 동의한 것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측근들이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존 볼튼 국가안보 보좌관 등의 주장과는 달리, 김 정은이 미국 앞에 알몸으로 자리를 옮길 때까지 아무런 대가도 기대하지 않고 핵무기를 신뢰에 근거해 신속하게 넘겨주기로 합의했다는 증거는 없다.
그건 확실히 그의 통치 스타일에 맞지 않는데, 그것은 약간의 편집증보다 더 민감하다.
김 정은은 무엇을 받아들였는가? 앞서 언급했듯이, 미국과 北정권은 항상 핵 군축의 다른 정의 (定義)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양국의 안보 상황을 감안할 때 이러한 차이는 놀랄 일이 아니다.
北정권은 한국과 한반도 너머에서 압도적인 미국의 힘을 마주하고 있다. 궁극적인 결과는 CVID일 수도 있지만, 미국으로부터 더 많은 무언가가 없이는 가능하지 않다.
게다가, 정상 회담 공동 성명은 군축의 논리적인 과정으로 보이는 것을 제시했다.
즉, 두 정상은 양자 관계를 구축하고, 평화 체제를 수립하며, 그 다음 비핵화를 달성하기로 약속했다.
냉소주의자들과 北정권의 과거의 행동은 자연스럽게 냉소주의를 불러일으키고, 이러한 과정은 비핵화를 늦추고 궁극적으로 저지하려는 北정권의 사악한 계획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세계 초강대국과 맞서고 있는 작고 취약한 北정권으로서는 이 전략은 많은 의미가 있다.
김 정은은 언어적 보증과 서류상의 보증이 미국의 군사력을 중지시키지 못할 것도 알고 있다.
北정권이 미국의 군사 행동에 대한 주요 억지력을 포기하는 것은 명백한 위험이다.
평양의 자연스러운 거부감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그것은 한반도의 더 깊은 양자 관계와 평화의 틀을 만들어낼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신뢰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지금까지 미국은 北정권에게 앞으로 나아갈 이유를 거의 주지 않았다.
물론, 미국은 무언가를 얻기 전에 모든 것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유일한 현실적인 전략은 이익을 위해 이익을 교환하는 것이다.
김 정은의 첫 직접적인 혜택은 군사훈련 중단과 보다 존경스러운 외교적 대우 등 미미했다. 그 이상의 약속은 분명히 깨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6·25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합의서에 서명하겠다고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北정권이 미국의 적대적 정책이라고 부르는 것이 끝났다는 의미 있는 상징적 확인이 될 것이다.
행동을 취하지 않으면 신뢰 문제가 제기되고, 행정부 혹은 적어도 중요한 구성원들은 방향을 바꿀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암시한다.
물론, 北정권은 장난을 치는 것일 수도 있다. 많은 관측통들은 北정권의 신뢰를 얻는다는 생각에 움찔한다.
그러나 만약 北정권의 핵무기를 협상할 기회가 있다면, 의심할 여지 없이 카다피가 자신이 그렇다고 믿었던 것처럼, 배신당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김 정은에게 납득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트럼프 행정부는 전략뿐만 아니라, 北정권의 신뢰를 높이는 데 관심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현재의 노력이 엄청난 시간 낭비가 될 것임을 확실하게 말해 준다. 대북 정책은 필연적으로 차선책의 비교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北정권과의 협상을 서둘러 시작하려는 것은 옳은 일이었다. 자신이 시작한 과정을 계속해야한다.
이는 양자 간 협상을 개선하고 한반도의 긴장을 줄이기 위해 앞으로 나아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치들은 비핵화가 헛된 것으로 판명되더라도 취할 가치가 있는 조치들이다.
MUSIC
Battle Hymn of the Republic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