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nuclearization and Its Storied Past
Abstract
Where did the word "denuclearization" come from?
The word is not unique to the Korean Peninsula, but could achieve new significance because of it.
A deeper dive into the history of the word "denuclearization" reveals a longer and more varied backstory.
It also reveals that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ould bestow new significance upon the term.
The word "denuclearization" first emerged in the late 1950s in reference to Central Europe.
George F. Kennan, the so-called father of the U.S. containment doctrine, penned an article in The New York Times, and as a point of emphasis, he simply entitled his article "Denuclearization."
Nevertheless, the use of the word for the Korean Peninsula has specific meanings.
The important point is that experts have intentionally used the term "denuclearization" over "disarmament" in order to capture the complexity of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hat includes the legacy of U.S. nuclear weapons in the region and the "nuclear umbrella" of extended deterrence the United States provides ROK.
In September 1986, North Korea hosted delegates from more than eighty nations at the "Pyongyang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Denuclearization an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s a ruse for its own nuclear aspiration.
Meanwhile, North Korea adheres to a unique interpretation of "denuclearization," one that aspires to the opacity of Israel - possess nuclear weapons, but do not flaunt them.
No regional denuclearization agreement has ever removed an indigenous nuclear weapons capability.
The Treaty of Pelindaba, which formally denuclearized Africa in 2009, three years after South Africa became the only nation ever to renounce its nuclear weapons.
Likewise,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ould be unprecedented for the United States.
Before Trump, the United States had also never called for a summit for the purposes of regional denuclearization.
As many experts have pointed out,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remains unlikely.
Nuclear weapons provide North Korea with security and prestige, while the United States could be reluctant to undermine the protection it provides ROK.
It would also bestow new significance upon the word "denuclearization" beyond a storied past.
비핵화의 과거지사
“비핵화”라는 단어는 어디에서 유래되었으며, 그것은 현재 한반도의 위험한 상황에서만 나타나는 것인가?
이 용어는 1990년대의 유물인 한반도에서 유래된 것이다.
그러나 “비핵화”라는 단어의 역사를 들여다보면 더 길고 더 다양한 뒷이야기가 드러난다.
그것은 또한 한반도의 비핵화가 그 용어에 새로운 중요성을 부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핵화, (Denuclearization)”라는 단어는 1950년 말에 중앙유럽과 관련하여 처음 등장했다.
1955년 중앙유럽에 대한 영국의 무기통제 제안에서 독일을 통일하고 북대서양 조약기구 (NATO)와 조율하는 수단으로 가장 최근에 사용됐던 “무장해제” (Demilitarization)라는 용어에서 유래했다.
동서양 모두 그 계획을 거부했지만, 중앙유럽의 무기제한에 대한 아이디어는 인정됐다.
전문가들은 “비핵지대, (Nuclear-free zone)”, “핵무기 해제 , (Nuclear disengagement)”, “탈 원자화, (De-atomization)” 및 ”제한된 군축, (Limited disarmament)“ 등과 동의어로 ”비핵화“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유럽에서 새로운 세대의 핵무기를 배치하자는 제안이 국제적인 항의를 촉발시켰을 때, 그것은 소위 유럽 유도탄 위기의 1980년대 초에 다시 두드러졌다.
소위 말하는 미국의 봉쇄정책의 아버지인 조지 F. 케넌은 뉴욕 타임즈에 냉전시대의 양측에 중앙유럽과 북유럽에서 핵무기를 금지하라고 촉구하는 글을 썼다.
강조점으로서, 케넌은 그냥 그의 기사에 “비핵화”라는 명칭을 붙였다.
그러나 이 용어는 냉전 기간 동안 유럽 전역 (戰域)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1961년 11월, 유엔은 회원국에 사하라 사막에서의 프랑스의 핵 시험 이후 "아프리카 대륙을 비핵화 지대로 생각하고 존중하라“고 촉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이 경우는 아마도 1959년 남극대륙을 세계 최초의 비핵화 지대로 만들 때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단어가 공식적으로 국제 법률 용어집에 들어간 최초의 사례로 보인다.
하지만 영국, 프랑스, 미국과 같은 주요 핵 국가들이 아프리카 이니셔티브에 대한 투표를 기권한 것을 볼 때, 그 행동은 제한적인 중요성을 지니고 있었다.
보다 주목할 만한 업적은 라틴 아메리카 거주 지역에서 최초의 비핵화 지대가 되었던 10년 후반에 일어났다.
협상은 라틴 아메리카 비핵화를 위한 준비위원회의 후원으로 21개 국가 사이에서 이루어졌다.
이 나라들은 라틴 아메리카 비핵화를 위해 최종 협정을 추진할 계획이었으나 1967년 2월 조약이 체결되기 불과 2주 전에 브라질은 이 명칭을 바꾸자고 제안했다.
브라질은 1962년 가을, 라틴 아메리카를 위해 처음으로 이 단어를 아프리카인들의 노력의 연장 제안으로 사용했고, 그 후 쿠바 유도탄 위기의 해결책으로 사용했다.
1967년 쿠바에서 유도탄이 제거되면서, 브라질은 그 지역에는 그 용어가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브라질이 조약에 따라 평화적인 핵폭발을 할 권리를 가지려고 싸웠기 때문에, 이런 관찰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함축적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결국, 제목은 “남미 핵무기 금지령”으로 바뀌었고 평화적 핵폭발을 위한 권리는 계속 논란이 되고 있다.
아시아 내에서조차 이 용어는 한반도에만 유일한 것은 아니다.
1958년 1월 초, 일본의 사회주의 정치인들은 아시아의 비핵화 지대를 요구했다.
1990년대 초, 특히 한반도에서 이 용어가 갑자기 나타난 것도 아니다.
1986년 9월 北정권은 자신의 핵 야망을 위한 계략으로 “한반도의 핵과 평화를 위한 평양 국제회의”에서 80여 개국의 대표들을 주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에 사용되는 이 단어는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핵 보유가 포함된 한반도 정세의 복잡성 (이 지역의 미국의 핵무기 보유와 미국의 확장 억지력의 핵우산이 한국에 제공되는 점)을 담기 위해 의도적으로 “군축”에 대한 “비핵화”라는 용어를 사용한다는 점이 강조된다.
한편, 北정권은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지만, 과시하지 않는 이스라엘의 불투명성을 열망하는 비핵화에 대한 독특한 해석을 고수한다.
핵심 당사자들이 한반도에서 핵무기를 금지한다면, 비핵화라는 단어는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될 것이다.
지역 비핵화 협정이 토착 핵무기 능력을 제거해 준적은 없다.
2009년 공식적으로 아프리카를 비핵화 했던 펠린다바 (Pelindaba)조약은 남아프리카가 핵무기를 포기한 유일한 국가가 된 지 3년 후인 1996년에 서명하기 시작했다.
마찬가지로, 한반도의 비핵화도 미국의 경우 전례가 없을 것이다.
미국은 사람이 사는 지역에서 비핵화 지대의 창설을 선도한 적이 없다. 그것은 다소간 남극 대륙의 무인도, 우주 공간, 해저 지역에도 그랬다.
미국은 트럼프 전에는 지역 비핵화를 위한 정상 회담을 요청한 적도 없었다. 1958년 미국은 소련의 정상 회담 요구를 거부했다. 이런 점에서, 트럼프의 접근은 이미 획기적인 것이다.
많은 전문가들이 지적했듯이, 한반도의 비핵화 가능성은 여전히 낮다.
핵무기는 北정권에게 안보와 위신을 제공하는 반면, 미국은 한국에 제공하는 보호를 약화시키는 것을 꺼릴 수 있다.
지역 비핵화와 6·25전쟁 종식을 위한 공식 합의를 연계하자는 北정권의 요구는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그러나 만약 양측이 한반도의 핵폭탄을 금지하기로 합의한다면, 그것은 세계를 더 안전한 곳으로 만드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덜 눈에 띄게, 그것은 또한 과거의 의미를 넘어서는 “비핵화”가 아니라 “비핵화”라는 단어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것이다.
MUSIC
E Lucevan le stelle
Luciano Pavarotti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