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al Value in the U.S.-ROK Alliance
Abstract
This year's meeting will mark the 50th anniversary of the U.S.-ROK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SCM).
The success of the SCM in managing, adapting, and advancing the alliance over the past half-century should not be overlooked.
The origins of the SCM lie in provocative actions by Pyongyang.
In the midst of the heightened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in 1968 caused by North Korea's seizure of the USS Pueblo, the SCM was born.
At the 10th SCM in 1977, the U.S.-ROK Combined Forces Command, or CFC, was established, which today is the most integrated combined defense command in the world.
One year later, the two allies launched a similar meeting for their top officers, called the Military Committee Meeting, or MCM, led by the two respective chairme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Taken together, these two for and the combined U.S.-ROK command have become the foundation of the complex, yet highly effective defense system we know today on the Korean peninsula.
The alliance has developed a tailored deterrence strategy to prevent North Korea from using weapons of mass destruction.
In 1994, the SCM played a key role in the handover of day-to-day operational control, or OPCON, to the ROK, and later in formulating a conditions-based plan for a future wartime OPCON transfer.
The SCM promotes a "Global Korea" whereby Korean forces are increasingly deployed to critical multinational and extra-peninsula missions that help reinforce key international norms.
Since 1968, it has formed the core of a framework that has grown, matured, and evolved dramatically, in both defense and non-defense sectors alike, to become one of the great alliances the world has ever known.
한·미 동맹의 진정한 가치
지난 2년 동안 北정권 주변의 괄목할만한 발전에 많은 관심이 쏠렸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둘러싼 행사, 남북 정상 회담, 트럼프 대통령과 김 정은 간의 전례 없는 싱가포르 정상 회담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北정권의 모략에 대한 모든 관심과 함께, 10월 31일, 워싱턴 D.C.에서는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 장관과 정 경두 한국 국방 장관이 만났다.
이번 회의는 한·미 안보협의회의 (SCM)창립 50주년을 맞는다.
종종 국방 정책 분석가들과 한반도 관찰자들만 밀접하게 뒤따랐고, 지난 반세기 동안 동맹을 관리하고, 적응하고, 발전시켜온 SCM의 성공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매년 한·미 장관이 만나기 전에 문제를 해결하고 형성하기 위해 수천 시간의 조직적 관리를 하는 이 포럼은 한·미 동맹의 위협에 대한 공통된 이해와 향후 두 나라의 작전 방향을 밝히는 것이다.
SCM의 기원은 평양의 도발적인 행동에서 비롯되었다.
1968년 北정권의 푸에블로 나포 (拿捕)로 한반도에서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SCM (당시 한·미 연례 국방 장관 회의로 불렀음)이 탄생했다.
이는 양국 장관이 동등하게 앉아, 관계가 고객-후원자에서 진정한 동반자 관계로 발전하기 시작했음을 반영했다.
1977년 제10차 SCM에서 한·미 연합군사령부 (CFC)가 설립되었으며, 이는 오늘날 세계에서는 최고의 통합된 방위사령부이다.
1년 후, 두 동맹국은 합동참모본부의 두 수뇌가 이끄는 한·미 군사위원회 회의 또는 MCM 이라 불리는 고위 장교를 위한 유사한 회의를 시작했다.
MCM은 이제 SCM 직전에 매년 만나서 SCM 프로세스에 투입될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
이 두 포럼과 한·미 연합군 사령부는 오늘 날 우리가 한반도에서 알고 있는 복합적이고 매우 효과적인 방어 시스템의 기초가 되었다.
이들은 우리의 두 군대, 국방관리, 외교관, 정보요원 및 방위산업 간의 긴밀한 연대 협력을 가능하게 한다.
휴전 협정 이행을 담당하는 유엔군 사령부가 보완한 이 구조는 한반도의 안보에 대한 진화 (進化)하는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동맹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며, 차이점을 해결할 수 있는 동맹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 구조는 잘 작동하고 있으며, 수십 년 동안 SCM은 北정권의 군사 공격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또한 다른 중요한 결과를 도출하는 데도 도움이 되었다.
그 당시, 동맹은 北정권의 위협에 대해 현재 보유하고 있는 기존의 우위의 기초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무기 능력을 습득하고 개발했다.
동맹은 北정권이 대량 살상무기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맞춤형 전략을 개발했다.
또한 北정권의 비대칭 위협을 다루기 위한 동맹 능력과 대응책을 마련했다.
1994년 SCM은 한국에 대한 일상적인 작전통제권 (OPCON)의 인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휴전 기간 동안 한국의 방위에 대한 책임을 효과적으로 부여하고, 나중에 미래 전시 작전권 양도를 위한 조건 기반 계획을 수립했다.
SCM은 동맹이 北정권의 전쟁 위협 수준 이하의 군사적 위협에 대한 대응을 통제하기 위한 반대 도발 계획 수립을 도왔다.
그리고 동맹이 한반도에서 미군의 복잡하고 어려운 통합과 현대화를 성공적으로 관리하도록 도왔다.
SCM은 주요 국제 규범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다국적 및 특별 임무에 한국군이 점차 배치되는 “글로벌 코리아”를 추진한다.
SCM은 1970년대 후반 미군의 철수 가능성과 2000년대 초 이라크 문제와 같은 동맹 내 심각한 위기관리에 도움이 되는 포럼도 제공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계의 광범위한 요소를 포괄하는 다른 구조가 동맹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발전했다.
여기에는 한·미 자유 무역 협정에 구체화된 무역 기구, 민간 핵 문제에 관해 양국 관계를 지배하는 123 협정, 아시아 최초의 양국 간 우주 협정 체결 등이 포함된다.
올해 SCM 의제는 21세기의 현실에 직면한 동맹에 부합되는 모든 도전 과제를 다루었다.
동맹과 맞서는 많은 도전적인 이슈들을 감안할 때, 동맹을 떠받치고 있는 구조의 변화가 필요한지 여부를 고려하는 것은 건전하고 자연스러운 것이다.
하지만 이 기념일에, 특히 동맹의 미래 향방을 고려할 때, SCM과 그 관련 구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치, 적응성 및 다기능성 모두를 입증했음을 상기해야 한다.
1968년 이래 국방 및 비 방위 분야에서 모두 성장, 성숙 및 진화한 골격의 핵심을 형성하여 세계가 지금까지 알던 훌륭한 동맹 중 하나가 되었다.
이 50번째 SCM은 진전을 축하하고 미래를 계획할 수 있는 기회이다.
태평양 양측의 많은 동맹 지지자들은 더 많은 성공을 위한 노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다.
MUSIC
Mozart - Eine Kleine Nachtmusik I. Allegro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