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5월 8일 월요일

워싱턴 선언 (The Washington Declaration)

President Yoon Suk Yeol's state visit was a prominent opportunity for the United States to reassure Korea. As Biden noted, the declaration is meant to "reinforce extended deterrence and respond to"North Korea's advancing nuclear threats. The United States has committed to "make every effort to consult with the ROK on any possible nuclear weapons employment." The declaration announces the creation of a new Nuclear Consultation Group (NCG). The declaration opens the door to new types of U.S.-ROK force integration in the context of the alliance. The declaration features reaffirmation of Korea's existing nonproliferation commitments. 한미 양국이 안보동맹 70년을 기념하는 가운데, 윤 대통령은 미국을 국빈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미국이 한국에서 北집단의 핵 위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미 동맹은 핵무기 사용을 포함한 北집단의 공격을 저지하는 임무를 수행할 것이라고 한국을 안심 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워싱턴 선언은 北집단의 핵 위협에 대한 “확장된 억지력을 강화하고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문제에 대한 동맹 내 협의의 범위를 확대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의도하지 않은 확대를 제한하고 억지력을 뒷받침할 수 있는 방식으로 미국과 한국의 힘을 더욱 통합한다. 첫째, 미국은 “한반도에서의 핵무기 사용 가능성에 대해 한국과 협의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할 것”을 약속했다. 미국이 핵을 사용하기 전에 동맹국들과 협의해야 한다는 공식적인 법적 요건은 없지만, 이 조치는 한국이 위기에 처해 있다는 것을 정치적으로 안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미국 대통령은 핵무기 문제에 관해 유사하게 협의를 시작할 수 있는 한국 측으로부터 의견을 구할 것이다. 둘째, 이 선언은 새로운 핵 협의 그룹 (Nuclear Consultation Group, NCG)의 창설을 알리고 있다. NCG는 “핵 및 전략 계획”을 논의하는 포럼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양측은 새로운 연습과 훈련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 선언은 한미 동맹의 맥락에서 새로운 형태의 한미 전력 통합의 문을 열어준다. 셋째, 여기서 가장 중요한 조치는 선언의 목표인 “새로운 한국 전략사령부와 한미연합사령부의 역량과 계획 활동을 긴밀히 연결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공동 작전계획의 개선은 한미 양국이 위기 상황에서 일치된 행동을 취하지 못해 의도하지 않게 확대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한국의 재래식 억지력이 더욱 발전하고 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동맹 내 통합을 보장하는 것이 핵심이 될 것이다. 워싱턴 선언은 또한 한미 동맹이 비록 이러한 협력의 성격이 구체적이지는 않지만, 한국의 재래식 군사적 지원으로 한반도와 주변에서 미국의 핵 활동을 지원할 새로운 방법을 모색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가능성은 한국 전투기들이 미국의 핵 능력 폭격기들을 지원할 수 있는 NATO와 같은 프로그램으로 한미 동맹이 나아갈 것이다. 넷째, 이 선언은 한국의 기존 비확산 약속을 재확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선언은 세계 비확산 체제의 초석으로서 핵 확산금지조약에 따른 의무와 기존의 양자 간 합의에 대한 한국의 약속에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확신은 이미 논의된 조치를 보완하는 것이며, 미국의 확장된 억지력의 비확산 기능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워싱턴 선언에 내포된 확장 억지력과 비확산에 대한 상호 신뢰는 미국이 유럽에서 유사한 딜레마를 탐색했을 때 냉전의 극치로 되돌아간다. 예를 들면, 워싱턴 선언과 바이든이 윤 대통령을 안심시킨 구조적 맥락은 1965년 린든 존슨 당시 미국 대통령이 서독 총리 루드비히 에르하르트를 안심시킨 것과 비슷하다. 당시, 새로운 협의 메커니즘, 전진 배치된 핵무기, 그리고 정치적 확신의 조합은 서독이 폭탄에서 벗어나 미국의 확장된 억지력에 대한 지속적인 의존으로 돌아서게 만들었다. 미국은 의심할 여지없이 한국이 워싱턴 선언에 의해 비슷하게 안심될 것이라는 희망을 갖는다. 그러나 확장된 억지력은 미국이 동맹국의 불안을 계속 관리할 것을 요구한다. 동맹국을 안심시키는 임무는 결코 완전하지 않으며, 동맹국은 결코 완전히 만족하지 않는다. 한반도 정세가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을 때, 미국에 대한 한국의 요구는 다시 돌아올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맥락에서 워싱턴 선언은 동맹 내 딜레마에 대한 임시 해결책 역할을 한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한미 양국은 워싱턴 선언이 동맹에 지속적인 가치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北집단에 대한 억지력을 뒷받침한다는 명시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두 가지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먼저, 한국은 워싱턴 선언에서 발표된 새로운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기존의 확장된 억제 정책의 충분 성을 믿는다는 것을 한국 내 전략 엘리트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한다. 윤 대통령은 워싱턴에서 바이든과 함께 공개적으로 이 말을 했지만, 서울의 다른 사람들에겐 설득력이 필요할 것이다. 전쟁의 도가니 속에서 피비린내 나는 한미 동맹이 맺혔지만, 양국은 군사동맹 이상의 관계이다. 한반도를 훨씬 넘어, 가치, 원칙, 그리고 이익을 공유한다. 한국의 성장하는 능력과 영향력은 한국이 더 강력한 지역적, 세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 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