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 17일 월요일

햇볕 론 (Sunshine Theory)


Sunshine (Sunbeam) Theory
Abstract
 
In 1998, the idea of the “Sunshine (Sunbeam) theory” appeared.
 
 
This theory or policy was a strategy of unconditional engagement designed to open North Korea to the forces of reform.
 
 
Under this theory, North Korea’s internal reforms and opening to the outside world would eventually allow the two Koreas to reunify through a process of mutual consultation and consensus.
 
 
The retreat of communism and the easing of Cold War threats had opened up some space to pursue diplomatic engagement with China and North Korea in the mid-to late 1990s.
 
 
Rapid economic growth and democratic changes within Republic of Korea society had also provided room for a change in policy toward the North.
 
 
But the emergence of this alternative school of thought was not just due to ideology.
 
 
The Sunshine (Sunbeam) theory, which could be called a theory based on a “extended soft landing.” was motivated by hard economic realities.
 
 
ROK’s liquidity crisis in 1997~1998 made unification impossible, so engaging with the North Korean regime over the long term, and paving the way for a gradual transition or a soft landing, seemed the best policy choice.
 
 
The policies socialized an entire generation of Koreans and the world into seeing unification as a “bad thing”-too expensive, too impractical, and too inconvenient- and so it should not be a concern or goal of the current generation or even its children or grandchildren.
 
 
Upon reflection, however, what was so distinct about the Sunshine (Sunbeam)Policy was the notion that unification should be pushed generations into the distant future.
 
 
At certain times, the Sunshine (Sunbeam)Policy caused fric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ROK who did not see eye to eye on North Korean policy.
 
 
As it related to unification policy, there were many critics of the soft landing theories who argued they were flawed because they were built on untenable assumptions:
 
 
1. A soft landing is possible only through engagement with North Korea.
 
 
2. Engagement will change North Korea for the better and cause the regime to institute systemic changes.
 
 
3. With a soft landing, military conflict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avoided.
 
 
4. North Korea’s neighbors will naturally support the soft landing and changes within the regime.
 
 
There was really no new empirical study of unification during the sunshine (sunbeam) era.
 
 
The opacity surrounding unification was transformed into a politically and ideologically motivated imperative to: engage North Korea, and delay unification indefinitely.
 
 
The opacity about unification created policy constraints.
 
 
Truisms became accepted as factual, without further study or new facts unearthed, and it was assumed that unification could be thought of in only one way.
 
 
햇볕 론
 
 
햇볕 론은 1998년 제시됐다. 이는 정권의 개방과 개혁을 위한 무조건적인 참여 전략이었다.
 
 
이 논리는 정권의 내부 개혁과 외부세계에 대한 개방이 궁극적으로 상호 협의와 합의 과정을 거쳐 한반도 통일을 달성한다는 것이다.
 
 
1990년대 중반과 후반, 공산주의 후퇴와 냉전 위협의 완화는 중국과 정권과의 외교적 접촉의 숨통을 열어주었다.
 
 
한국의 급속한 경제 발전과 민주화 역시 대북정책 변화의 여유를 제공했다. 하지만 이 새로운 학설은 이념 때문만 아니었다.
 
 
이 햇볕 론은 어려운 경제적 현실에 자극받은 확장 연착륙에 기반을 둔 논리라고 볼 수 있다.
 
 
한국의 1997~1998년의 유동성 위기는 통일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그리하여 정권과의 장기적 접촉과 점진적 전환의 길을 다지거나 연착륙이 최선의 정책 선택으로 여겨졌다.
 
 
고쳐 생각해 보면, 햇볕 론이 무엇 때문에 그렇게 선명해졌는지는 통일은 미래세대로 밀어야한다는 그 개념이었다.
 
 
이 정책은 한국의 전체 세대와 세계가 통일은 너무 비싸고, 너무 비현실적이고, 너무 불편한 나쁜 일로 보게 했다.
 
 
그리고 통일은 현세대나 그 자녀, 손자들의 관심사나 목표가 아니라고 했다.
 
 
어떤 때는, 이 햇볕 론은 대북정책의 의견이 일치되지 않는 요인이 되어 한국과 미국 간의 마찰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이 논리는 통일정책과 관련 되어, 연착륙 이론에 대한 비판이 거세어졌다. 그것은 지지할 수 없는 가설에 기반을 둔 결함 때문이었다.
 
 
그 내용은,
 
 
첫째, 연착륙은 정권과의 참여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둘째, 참여는 더 나은 정권으로 바꿀 것이며, 정권의 조직적 변화를 도입하게 할 것이다.
 
셋째, 연착륙은 한반도에서의 군사적 충돌을 피하게 할 것이다.
 
넷째, 정권의 이웃 나라들은 당연히 연착륙과 정권내의 변화를 지지할 것이다.
 
이 햇볕 론 시기에도 새로운 경험적 연구는 없었다.
 
 
통일을 둘러싼 이 불투명성은 정치적, 이념적 동기 (動機)의 책무로 바꿔놓았다.
 
 
, 정권에의 참여와 무기한 통일 지연이 그것이다.
 
 
또한 통일에 관한 불투명성은 정책 제약을 만들어냈다.
 
 
뻔히 아는 이 일은 추가 연구나 새로운 사실의 발굴 없이 통일은 한 방향으로의 생각이 당연한 것으로 여겨져 사실로 받아 들여졌다.
 
MUSIC
Yves Montana-Les Feuilles Mortes (Autumn Leaves)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