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1월 30일 월요일

최근 조선중앙TV의 변화 (Recent Changes in North Korean Central TV)


Recent Changes in North Korean Central TV
Abstract:
 
 
Prior to 2006, the announcer's backdrop was a solid, monotonous color with no images, but now they use a spectacular picture of downtown Pyongyang and Daedong River.
 
 
Older announcers were also replaced with younger more attractive anchors dressed in Western suits instead of traditional Korean clothing.
 
 
The overall atmosphere of North Korean Television programs is also brighter than before.
 
 
At the beginning of this year, Chosun Central TV began to show a greater interest in aesthetics, most prominently in the announcer's wardrobe and the use of more scenic backdrops.
 
 
The use of animation and computer graphics has also increased.
 
 
New sections have also been introduced, where reporters talk with announcers about specific issues, previously the announcer broadcast news rigidly in a voice of high authority accordingly to strict protocols and instructions.
 
 
This is the first trial of new format in broadcasting. We can perceive more natural attitudes and a bright atmosphere than appeared in older North Korean programs.
 
 
Chosun Central TV also adopted a big PDP (plasma display panel)television in their news studio, which is used for showing symbolic pictures to illustrate particular issues.
 
 
The PDP is standard at most broadcasting stations in the rest of the world.
 
 
Despite the changes in format and appearance, the content of North Korean broadcasts remains the same.
 
 
The proportion of Kim Il Sung's injunctions and Kim Jong Il's instructions and teachings, the essence of North Korean television programming, has not changed.
 
 
Kim Jong-un has given every indication he will largely follow in his father's footsteps, however, new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and being made more freely available in the country.
 
 
What is the tremendous power that makes changes in North Korean Central TV?
 
 
It can be seen due to the larger market impact that spreads across the country. 
 
 
It also is the results of the marketization that has brought a materialism as a cause to transcend the existing totalitarianism allowing new values and culture.
 
 
 
최근 조선중앙TV의 변화
 
 
조선중앙TV를 분석해 본 결과 2006년부터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정권의 특성상 가장 표준적인 저녁뉴스를 기준으로 하였다.
 
 
2006년 이전 은 파란색 화면에 아나운서를 중앙에 두고 방송을 하였다. 매일같이 의 뉴스의 절반은 김 씨 일가의 신격화여서 자칫 형식적이고 딱딱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의도적으로 파란색을 사용한 것은 색체심리학에서 긴장완화를 의미한다
 
 
만약 배경을 혁명이란 의미의 빨간색을 사용했다면 주민들의 심리정서는 대량 아사 (餓死)와 맞물려 격렬해졌을 것이다. 의 선동기술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2006년 이후부터는 단순한 판넬을 배경으로 함으로써 변화를 꾀한다. 이것은 도 시대의 트렌드가 있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르네상스 전성기의 가장 뛰어난 성과로 꼽히는 레오 나르드 다 빈치의 그림 최후의 만찬 (The Last Supper)”이 유명해 질 수 있었던 이유에는 화면의 수학적 구조와 소실점 (消失點, Vanishing point)의 역할이 컸다.
 
 
천장과 문의 연장선을 일직선으로 그으면 그 끝이 예수의 눈에 정확히 떨어진다. 이것은 시각적으로 중심부에 집중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2006년 이후 의 뉴스 또한 의도적으로 배경 화면의 대동강의 끝 부분을 아나운서의 얼굴에 맞춤으로써 그의 말에 집중할 수 있는 효과를 노렸다.
 
 
그리고 소실점을 얼굴 쪽에 둠으로써 아나운서가 내뱉는 김 씨 일가의 신격화에 신뢰성을 부여했다. 단순한 그림 판넬에도 의 노림수가 있는 것이다.
 
 
은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신격화 전통은 고집스레 이어가고 있다.
 
 
자세히 보면 모든 아나운서는 손을 가지런히 모으고 정자세로 방송을 한다. 이는 김 씨 일가에 대한 예의 차원이다. 앉은 자리에서 차렷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그 뿐만 아니다. 의 사회의 일반 소식을 전할 때는 사회 전반을 이야기하듯 평양시 전경 또는 대형 건물을 보여준다면, 김 정일 현지 시찰 보도는 품위와 권위를 강조하는 원목 배경으로 처리했다.
 
 
보다 새로운 점은 사회의 일반 소식을 전할 때에는 아나운서의 자리배치도 정중앙에서 한쪽으로 옮겨 앉는다
 
 
자세나 손 위치도 다소 자연스럽다. 수령과 주민을 철저히 차별화하는 선전선동 원칙의 관행이다.
 
 
최근에는 뉴스에 컴퓨터그래픽이 등장하기도 하고, 아나운서 옆에 대형 PDP TV를 두고 방송을 하는 경우도 있다. TV프로그램이 점차 현대식으로 바뀌어 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자세를 볼 때에도 비교적 자유스러운 분위기가 엿보인다. 컴퓨터그래픽이 도입되면서 구도와 조화를 위한 차선책으로 볼 수 있다.
 
 
김 씨 일가의 현지시찰 소식을 알리는 전투적인 보도 외에 다른 소식들은 일종의 심리적 편안함을 유도하려는 것이다.
 
 
 
그들에게도 시대적 흐름에 따른 변화의 필요성이 생긴 것이다. TV를 바꾸게 하는 엄청난 이 힘은 무엇일까?
 
 
단순히 젊은 새로운 독재자 김 정은의 지시 때문이라고만 할 수 없다. 그보다는 시장 (市場)의 영향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시장화에 따른 물질주의가 전체주의를 초월하면서 새로운 가치관과 문화가 전파된 결과이다.
 
 
시장이 주도하는 주민문화를 거부할 경우 이념 주입이 공허한 메아리로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시대의 유행을 주도하는 방송이 아니라 아래로부터의 압력에 쫓기는 전통의 변질인 것이다.
 
MUSIC
Meditation from Thais
Violin: Sara Chang
   
 
 
 
 
 
  
 
 

2015년 11월 23일 월요일

北의 써비차 (車) (Transport in North Korea)


Transport in North Korea
Abstract
 
 
Transport in North Korea is constrained by economic problems and government restrictions.
 
 
Fuel constraints and the near absence of private automobiles have relegated road transportation to a secondary role.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the estimated 264,000 vehicles in use 1990 were for the military. Rural bus service connects all villages, and cities have bus and tram services.
 
 
Automobile transportation is further restricted by a series of regulations.
 
 
It isn’t easy running a tyrannical dictatorship these days, just ask North Korea, a country with so many internal and external sanctions that they don’t even have even oil to run the few vehicles they’ve got.
 
 
That led the resourceful North Koreans to power their vehicles using gasifiers, which produce immense heat and break down biomatter, like wood, into a usable fuel.
 
 
North Korea is just crawling with these mostly-wood-powered pickups and equipment haulers.
 
 
Many North Koreans must improvise when it comes to getting their old-school trucks moving.
 
 
Wood is one of the few resources available in abundance in North Korea, and so it wasn’t long before the resourceful citizens figured out that gasification was their only real solution.
 
 
Thus getting money riding on empty trucks, commonly seen, as a business activity began in the late 1980s.
 
 
Mainly state-owned enterprises, the administration, and the military subject to these sales. In recent years, civilians have also been involved in the sales.
 
 
의 써비차
 
 
우리는 언론 보도 등을 통해 주민들이 트럭을 타고 이동하는 사진을 많이 접하게 된다.
 
 
이런 모습들을 보고 의 군이나 행정기관의 트럭들이 도보로 이동 중인 지치고 힘든 주민들을 도와주는 정겹고 안타까운 장면이라고 느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런 자동차가 의 도로운송의 주역인 써비차로 불리는 불법영업 화물차량이다.
 
 
써비차는 서비스차가 변형된 말로서, 돈을 받고 화물이나 여객을 수송해주는 화물차량 등을 지칭하는 말이다.
 
 
북한지역에서는 차량을 이용하는 행위를 흔히 써비를 준다고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신조어가 나온 듯싶다.
 
 
써비차의 운영 주체는 과거에는 국영기업소, 행정기관, 군부대였으나 최근에는 민간도 영업 활동에 참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개인은 화물 차량을 소유할 수 없기 때문에 기업소나 군부대에 자기 소유의 차량을 등록하고 사용하거나, 일부 기업소나 군부대는 자체 차량을 민간부문에 비용을 받고 대여하기도 한다.
 
 
빈 화물차에 돈을 받고 승객을 태워주는 사적 영업행위는 1980년대 말 황해남도에서 처음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 고난의 행군으로 정상적인 차량 운송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시기부터 전국적으로 써비차 영업이 성행한 것으로 보인다.
 
 
탈북자들에 따르면, 이들 19%가 주로 이용했던 교통수단으로 써비차를 선택했다고 한다.
 
 
자전거 31%, 시내버스 19%에 이은 3번째 운송수단으로서의 위상을 갖고 있는 것이다.
 
 
써비차는 72%가 트럭, 다인승 승합차가 1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써비차의 이용 목적은 58%가 이동 수단이고, 34%가 상행위였다.
 
 
정권이 정상적인 방식의 운송수단을 공급할 수 없는 상황에서 국가의 다른 영역에서 유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비정상적인 운송시스템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써비차의 활성화는 북한지역에서 시장의 급속한 확산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MUSIC
J.S.Bach-Air on the G String, Aria
Cello, Misha Quint
 
 
 
 
 
 
 
 
 
 
 
 
 

2015년 11월 16일 월요일

한반도 통일과 핵 위협의 역설 (Reunification and Paradox of the Nuclear Threat)



Reunification and Paradox of the Nuclear Threat
Abstract
 
 
The global trend is that no nuclear armed state has dared to use nuclear threat to settle political or military conflicts due to the immense risks of escalation.
 
 
And many countries have recognized that nuclear weapons are the ultimate means of self-destruction for humanity.
 
 
Nuclear threat should be removed from the tool kit o managing North Korea because nuclear threat are no longer a sound tool for resolving international political and humanistic disputes between the nations.
 
 
Nuclear threat has become obsolete a primitive tool that cannot be used to settle things.
 
 
North regime remains committed to reunifying the Korea, and this goal is reflected in its nuclear ambition.
 
 
Yet, the DMZ reminds them that all their attempts to achieve reunification by military means and nuclear threat have failed.
 
 
Indeed, reference by Iran or North Korea to nuclear threats is more of an admission of weakness than strength.
 
 
Unfortunately, the North continues to use their nuclear threat for promoting the Juche philosophy in pursuit of an orthodox dynastic strategy for reunifying Korea.
 
 
North’s nuclear arsenal is still limited and primitive, and are not yet primarily directed at actually fighting a war should one erupt, but are useful more for propaganda inside the country to demonstrate their strength and resolve in dealing with outsides.
 
 
It is time now to consider several ways to sustain peace on Korean peninsula and help advance North Korea security while improving the life of North Koreans.
 
 
For this, a way of reunification approaching requires changes in mentality to find in close proximity, and searching by ordinary daily life.
 
 
- The only way forward is to seek mutual cooperation and advancement for North Korean people, and to take steps that enable Kim Jong-un to revitalize North Korea.
 
 
- Should promote the renewal of North Korea’s environment and rehabilitation of its ecosystems, and support the conservation and renewal of Korea’s biodiversity.
 
 
- The South should support the advancement of arts and talented artists and artisans in North, and also the training and diffusion of skills involving hand work.
 
 
- The two Koreas should share and exchange cultural, artistic and sport activities to build a Korean ethos suitable for the 21st century.
 
 
-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assist the North by providing food, medicine, and other essential humanitarian inputs, especially for children.
 
 
-North Korean nuclear weaponry is already useless and cannot be used to reunify Korea on the North’s terms.
 
 
As being outdated, whether the North has nuclear weapons or not no longer matters to reunification.
 
 
The North’s nuclear weapon will demonstrate their own failure over time to the North Korean people.
 
 
It is the matter of peace for North Korean people who will have their say one day.
 
 
한반도 통일과 핵 위협의 역설
 
 
오늘날 세계적 추세는 전쟁 확대의 엄청난 위험 때문에 정치적 해결이나 군사적 충돌에 감히 핵 위협을 사용하려는 핵 무장국은 없다.
 
 
많은 나라들은 핵무기가 궁극적으로 인류 자멸의 수단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핵 위협은 국가 간의 정치 싸움 해결에 사용할 수 없는 원시적인 도구로서, 이젠 그 어휘는 사어 (死語)가 되고 있다.
 
 
따라서 핵 위협은 정권을 다루는 도구상자에서 제거돼야한다.
 
 
그것은 더 이상 국가 간의 국제 정치와 인본주의적 분쟁을 해결하는 건전한 도구가 아니기 때문이다.
 
 
한반도 통일은 한국인들이 어디에 자리 잡고 있던 모든 한국인들의 염원이며 직접적인 관심사이다.
 
 
정권은 한반도 적화 통일에만 몰입하고 있으며, 이 목표는 그들의 핵 야망에 반영돼 있다.
 
 
하지만, 한반도 비무장지대 (DMZ)정권이 군사적 방법이나 핵 위협 등 모든 방법으로 통일을 이루겠다는 그들의 시도가 실패했음을 상기시키고 있는 산 증거다.
 
 
DMZ를 군사적 완충장치와 핵 위협을 투사 (投射)하는 기반으로 사용한다는 것은 정권이 통일을 포함한 그들의 목표 달성의 무능력함을 그저 드러내는 것일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의 핵 위협의 궁극적인 전략적 목적은 혼란스럽고 흐리터분하며, 한국을 심각하게 위협할 뿐 아니라, 동북아시아의 나머지 나라들과 심지어 중국도 위협하는 것이다.
 
 
사실, 이란이나 정권의 핵 위협의 언급은 힘보다 약점을 스스로 더 인정하는 것이다.
 
 
최근 P5+1 (유엔 안보리 5개 이사국 및 독일)과 이란의 핵 합의는 과거의 폭파 장치인 조잡한 핵 위협이 나라 세우기에 사용될 수 있는 자산이라기보다 날이 갈수록 가치가 떨어진다는 것을 드러낸 것이다.
 
 
불행하게도, 정권은 정통 왕조의 통일전략 추구에 주체사상 이론을 얹어 홍보 하면서 핵 위협을 계속하고 있다.
 
 
의 핵무기는 아직 제한적이고 원시적인 상태의 수준이다. 그리고 전쟁 발발 시 실제로 싸움에 임할 수 있는 태세는 갖추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의 국내 홍보용으로, 대외적인 힘과 결의를 과시하기에 더 없이 유용한 도구인 셈이다.
 
 
이런 미친 짓엔 핵무기로 대응을 하지 않는 것이 상책이며, 그보다, 의 현실적인 군사 능력에 대한 신중한 대응이 더 중요하다.
 
 
미국은 에 대한 핵 공격 가능성을 높이는 대신, 한반도 평화 유지를 위한 여러 방법을 강구하고 의 안전을 도우며 주민들의 삶을 개선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통일의 접근방식을 가까운 곳에서 그리고 평범한 일상사에서 찾는 변화된 사고가 필요하다.
 
첫째, 오늘날의 한반도는 남과 이 비록 문화적 관련성과 공통역사를 가졌음에도, 서로 완전히 다른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체제의 두 국가로 태어났음으로 현대적인 통일을 위한 기대는 오래된 환상이다.
 
 
양측이 이념과 정치적 경쟁이나 군사행동으로는 성취할 수 없다는 환상의 고집은 아무 소용이 없다.
 
 
오직 성공할 길은 상호 협력과 주민들의 발전 그리고 김 정은이 을 부흥시키도록 필요한 조처를 강구하는 것이다.
 
 
둘째, 한국과 동맹국들은 의 환경 재개발과 한반도의 생물의 다양성과 생태계의 보존 및 재건의 지원과 조림, 의 시골의 농업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심각한 보존 및 DMZ 자체의 연구를 시작해야하며, 관계자들과도 내내 협력해야한다.
 
 
셋째, 한국은 의 예술의 발전과 재능 있는 예술가, 장인, 그리고 훈련과 수공 (手工)을 포함한 기술의 확산을 지원해야 한다.
 
 
넷째, 남과 은 문화와 예술 및 스포츠 활동을 공유하고 교환함으로써 21세기에 알맞은 한국 정신을 키워야한다.
 
 
다섯째, 국제사회는 식량과 의약품 및 기타 필수적이고 인도주의적인 지원과 특히 미래의 주인공인 어린이들에 대한 지원을 제공해야한다.
 
 
여섯째, 의 핵무기는 이미 쓸모없게 되었다. 그리고 의 조건에 맞는 한반도 통일이나 그 어떤 다른 유용한 결과를 위해서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이 해무기를 갖고 있든지 말든지,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한반도 통일엔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의 핵무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민들에게 그들 자신이 실패한 것을 보여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한때 강제적인 통일의 환상과 핵 위협이 통일에 유용한 조건으로 여겼던 정권이 마침내 평화의 추구를 위해 핵무기를 포기할 날은 온다.
 
 
그리고 이는 어느 날 그들의 의사를 말할 주민들의 평화의 문제인 것이다.
 
MUSIC
Beethoven-Piano Concerto No.5 (Emperor) Allegro
Piano, Zimer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