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though for the time being North Korea is an immediate, ominous, and somewhat understood threat, developing and sustaining peace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root causes of conflict and insecurity. Therefore, Korea's strategy, which involves activities such as strategic planning and strategic thinking for the longer term requires a different focus under conditions of uncertainty.
2021년 2월 1일 월요일
한-미 원자력 협력 (ROK-U.S. Nuclear Energy Cooperation)
ROK-U.S. relations that needs critical attention: rebuilding cooperation on nuclear energy.
The conclusion in June 2015 of a new, ROK-U.S. agreement on peaceful nuclear cooperation was met with relief by both sides.
The new agreement helped chart a course for long-term ROK-U.S. cooperation in nuclear energy commerce.
Korea and Biden administration could recapture the spirit and direction of the 2015 nuclear agreement and solidify a critical
and solidify a critical pillar of the ROK-U.S. alliance.
새로 출범한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정책은 큰 관심사이다.
그러나 한·미 양국은 다른 도전적 이슈인 원자력 협력 재건을 도외시해선 안 된다.
하·미 양국은 2015년 6월 원자력협정 개정에 합의했으며, 수년 동안의 협상 끝에 몇 가지 주요 문제를 넘어설 수 있었다.
새로운 협정은 원자력 상거래, 고급 연구개발 프로젝트, 비확산 분야에서의 장기적인 한·미 협력의 방향을 정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양국 정부는 한·미 관계의 “제3의 기둥”으로서의 핵에너지에 대한 생각을 강화하기 위해 미 국무부와 에너지부 그리고 한국의 외교부와 산업통상 자원부 고위관리들로 구성된 고위급 양자위원회를 설치했다.
협정은 또한 파이로프로세싱 (Pyroprocessing) 기술에 대한 공동 연구도 촉진하도록 했다.
이 기술은 사용 후 핵연료에서 고방사성 물질을 분리해 압축하는 방법으로 한국이 관심을 갖는 분야이다.
미국 법은 핵무기용 물질 생산에 쓰일 가능성 때문에 이 기술의 협력을 제한하고 있지만, 한·미 원자력협력을 통해 이 공동연구가 가능해진 것이다.
그러나 한국 좌파정권은 한국의 오랜 친 원자력 방침을 일탈하는 탈 원전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위원회는 한국전력 (KEPCO)과 미국 Westinghouse가 연루된 지적재산권과 한국의 사우디에 대한 원자로 판매 제안의 분쟁에 따른 양국 정부 간 이견에 인질로 잡혔다.
한전은 사우디에 팔려고 제안한 원자로는 100% 한국형이라고 주장하지만, Westinghouse는 미국 소유의 기술을 탑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중대한 파이로프로세싱 공동연구는 한국에서 생산된 재료의 미국 실험실에서의 시험과 관련된 물류 및 법률상의 문제로 인해 중단되었다.
또한 2015년 이후 한국은 원자력 발전소용 연료를 러시아와 중국에서 더 싸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미국의 농축 우라늄 구매를 중단했다.
이것은 상업적 이유에서는 이해할 수 있는 일이지만, 미국은 한국의 원자력 수출 허가의 새로운 접근법의 배신으로 여긴다.
한·미 양국은 이런 의견 차이가 악화되게 허용한다면 한국의 좌파정권과 바이든 행정부는 보다 강력하고 폭 넓은 한·미 동맹을 재건하려는 노력을 망칠 수 있다.
이제 원자력 협력을 정상 궤도에 올려야 할 때이다.
첫 번째 단계는 양국 정부가 한전-Westinghouse 지적재산권 분쟁에서 벗어나 러시아와 중국 원자력 산업과의 경쟁이라는 폭 넓게 공유된 상업적 이익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 문제는 고위급 위원회의 우선순위가 돼야 양국 정부가 공유하는 상업적 이익과 비확산 원칙을 앞당길 수 있다.
한전과 Westinghouse의 지적재산권 분쟁에 대해서는 양사가 모두 이익을 볼 수 있는 해외 계약을 따낼 수 있는 기회를 해치고 있다.
양사의 차이점에 대한 우호적인 해결이 바람직할 것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양사는 정부의 의지가 아닌 법적 수단을 추구해야 한다.
둘째는 파이로프로세싱 연구에 대한 결론 도출을 협의해야 한다. 이것은 기술, 법 및 예산 문제일 뿐 아니라 정치적 문제이기도 하다.
미국의 핵무기 물질 생산 기술의 추가 확산 방지 의지는 한국의 원자력 과학계의 파이로프로세싱 기술 에 오랫동안 쌓아온 학문적 관심과 투자와 충돌한다.
양국 정부는 궁극적으로 두 가지 목표를 모두 충족시키는 기술적인 반쪽짜리에 정착할 수 있다.
즉, 한국이 사용 후 핵연료의 양을 집중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핵무기에 사용될 수 있는 재료를 생산하지 못하기 때문에 매우 높은 안전과 보안 위험이 있다.
끝으로, 한국은 다른 날에 핵 기술과 물질을 공급하는 조건으로 최고 수준의 안전장치인 국제원자력기구 (IAEA)의 추가 규약을 요구하는 미국에 합류해야 한다.
국가들이 원자력 사용을 지속하려면 안전, 보안, 비확산을 잘 지켜야 한다. 이것은 한·미 공동의 이익이며 양국 원자력 에너지의 정치적 생존력에 필수적이다.
이런 조처들을 통해 한·미 양국은 2015년 원자력협정의 정신과 방향을 되찾고 한·미 동맹을 가일층 단단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